소개

前 프로게임단 삼성 갤럭시

Talon 2018. 4. 6. 09:35

오늘 소개할 팀은 바로~

삼성 갤럭시입니다~!


과거 워크래프트 3, 피파,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을 운영하였었습니다.


삼성 갤럭시는 2000년 6월 9일 삼성전자 칸이라는 이름으로 창단하였습니다. 팀 창단시에는 정수영 감독이 감독직을 수행했으나, 당시에는 프로리그 같은 팀단위 리그 개념이 전혀 없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매니저의 인식이 강했습니다. 그 후 정수영 감독은 삼성전자와 결별하고 2001년 4월부터 팀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어 감독이 없는 내부 직원의 관리 체제로 이 체제는 2003년 7월 24일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강성욱 주임, 김선아 사원, 김태훈 사원, 허민구 사원이 약 2년간 순차적으로 실질적인 감독 겸 매니저 및 프런트의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그 후 2003년 7월 팀의 활성화와 더불어 감독과 프런트체제로 조직 개편과 더불어서 같은해 7월 25일부터 최초의 프로게이머 출신 감독이자 유일의 여성 감독인 김가을 감독과 이주연 과장이 프런트를 맡아 진행했고 2006년부터는 김가을 감독과 정상진 과장이, 2013년부터는 최윤상 감독, 오상택 코치와 허민구 과장이 프런트를 맡기도 했었습니다.


2007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전기리그와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에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2008년 11월 1일에는 인크루트 스타리그에서 송병구가 우승, 창단 8년 5개월 이래 최초의 개인리그 우승자를 배출시켰습니다.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시즌에 들어선 삼성전자는 에이스 송병구의 부활과, 박대호, 유준희, 김기현, 유병준, 임태규등 신인들의 활약으로 프로리그 성적을 상위권으로 기록하게 됩니다.


2011년 11월 해체된 3개의 게임단 공개 포스팅을 통해 신노열을 영입하였고 이후 2차 협상을 통해 이영한을 영입하였습니다. 또한 화승 OZ에서 코치직을 맡았던 오상택 코치도 영입, 2005년 변은종, 이창훈, 박성준을 영입한 이래로 최대 전력 보강을 하였습니다.


2012년 8월 진에어 그린윙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4년 만에 정규시즌 우승과 결승진출을 확정지었으나 결승에서는 CJ 엔투스에 패해서 준우승에 머물렀습니다.


2013년 9월 7일 MVP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인 MVP 오존과 MVP 블루를 인수, 팀 내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새로이 창단하며 팀명을 삼성 갤럭시로 변경하였습니다. 이후 오존 게이밍의 후원 종료로 인해 삼성 갤럭시 오존의 이름을 예전 이름인 화이트로 변경하였고 스타크래프트 II 종목은 '삼성 갤럭시 칸',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은 '삼성 갤럭시 블루',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2팀으로 활동했습니다. 2013년 이후 모기업의 체계적인 후원과 관리, 게이머 출신들로 구성된 사무국 등 타 프로게임단 대비 우수한 경쟁력으로 좋은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4년 10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 끝난 후부터 몰아친 해외 러쉬로 인해 '삼성 갤럭시 화이트'와 '삼성 갤럭시 블루' 두 팀의 주전 10명과 대부분의 연습생, 코치 윤성영까지 모두 중국으로 이적했습니다. 그리고 2014년 11월 아마추어 '큐베' 이성진, 'Mid Huni' 김지훈, 'Bell park' 박종원, 'errOr report' 서준철과 前 Prime 소속 'JetEnJin' 이진용, 前 SKT T1 K 소속 'Casper' 권지민을 영입한 로스터가 공개되며 삼성 갤럭시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은 완전히 다른 팀이 되어버렸습니다.


2015년 5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서머 2015 개막과 동시에 'Kabum Shadow' 이민호, '루나어린이' 장경호를 영입했습니다.


2016년 10월 스타크래프트 II 종목 팀 해체를 발표하였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을 우승하였습니다.


2017년 12월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KSV e스포츠단에 매각하며 팀이 해체되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2000년 6월 삼성 프로게임단 칸 창단

2005년 10월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우승

2006년 1월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준우승

2006년 1월 SKY 프로리그 2005 그랜드파이널 4위

2007년 6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우승

2008년 2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통합챔피언전 준우승

2008년 8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우승

2008년 8월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4위

2009년 7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위

2011년 7월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강

2012년 3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1 3위

2012년 9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2 정규시즌 우승

2012년 9월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Ⅱ 프로리그 시즌2 준우승

2013년 9월 삼성 갤럭시로 팀명 변경

2014년 2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1라운드 3위

2014년 7월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4 4라운드 4위

워크래프트 III

2004년 6월 온게임넷 WEG 팀리그 WarCraft 3 3위

리그 오브 레전드

2013년 9월 롤팀 창단

2014년 1월 롤챔스 윈터 준우승 - 화이트

2014년 6월 롤챔스 스프링 우승 (블루), 3위 (화이트)

2014년 7월 LOL 클럽 마스터즈 초대 우승

2014년 8월 롤챔스 서머 준우승 (블루), 3위 (화이트)

2014년 10월 LOL 월드 챔피언십 2014 우승 (화이트), 4강 (블루)

2016년 10월 LOL 월드 챔피언십 2016 준우승

2017년 11월 LOL 월드 챔피언십 2017 우승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

2000년 ~ 2013년 삼성전자 칸

2013년 ~ 2017년 삼성 갤럭시

리그 오브 레전드

MVP 블루 - 삼성 갤럭시 블루

MVP 화이트 - MVP 오존 - 삼성 갤럭시 오존 - 삼성 갤럭시 화이트

삼성 갤럭시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2

1대 감독 : 정수영

감독 대행 : 허민구

2대 감독 : 김가을

리그 오브 레전드

1대 감독 : 최윤상

2대 감독 : 최우범


KTF bigi KOREA e-sports 2005 스타크래프트 부문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스프링 2014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4 시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017 시즌


창단 이후 약 14년 동안 게임단 로고와 팀 명칭이 창단 당시부터 현재까지 한 번도 바뀌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팀이었습니다. 이 기록은 2013년 9월 7일 팀 명칭이 삼성 갤럭시로 바뀌면서 깨졌습니다.


이상 삼성 갤럭시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수 소향  (0) 2018.04.06
前 프로게임단 공군 ACE  (0) 2018.04.06
프로게임단 콩두 몬스터  (0) 2018.04.05
바둑기사 박영훈  (0) 2018.04.05
야구코치 최상덕  (0) 2018.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