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선수는 브라끄 이성은 선수입니다!
이성은 선수는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출신 게임해설가입니다. 삼성전자 칸 소속의 테란 출신 프로토스 유저. firebathero 또는 BraQ라는 아이디를 쓰며, 까무잡잡한 피부에서 유래된 '흑성은', 아이디를 그대로 읽은 '브라끄' 등의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루드워에서는 테란으로 플레이를 하였으며, 자유의 날개에서는 프로토스로 종족을 바꾸었습니다.
2012년 9월부터 곰TV의 GSTL 해설로 전환하였습니다.
2005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삼성전자 칸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습니다. 프로게이머로 입문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 시즌3에 연이어 진출하였으나 변형태 선수, 한동욱 선수에게 각각 패퇴하며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나 곰TV MSL 시즌2 8강에서 유력한 우승후보이자 6회 연속 4강 진출을 노리던 당시 최강저그 마재윤을 3:2로 꺾으면서 일대 파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성은은 생애첫 MSL 4위까지 차지하였다 특히 승리 직후 경기장을 한 바퀴 돌았던 세리머니는 팬들 사이에 뜨거운 논쟁을 유발시켰습니다. 이후 이성은 선수와 마재윤은 맞대결을 벌일 때마다 묘한 긴장감을 형성하며 팬들의 흥미를 돋구었습니다.
2007년 스타크래프트 시즌의 중요한 화두 중 하나는「선수들의 세리머니 열풍」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엔 이성은 선수가 있었습니다. 이성은 선수는 종전엔 찾아볼 수 없었던 독특한 세리머니들을 선보이며 팬들의 열광, 안티팬들의 비난을 동시에 불러일으켰고, 세리머니만큼이나 다채로우면서도 탄탄한 경기력을 내세워 일약 e스포츠계의 이슈 메이커로 재평가되었습니다. 특히 고인규 선수와의 경기에서 보여준 탱크 블러드, 박정욱 선수와의 경기에서 보여준 패스트 핵, 신희승과의 경기에서 보여준 연속 락다운 등은 이성은 선수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명장면들이었습니다.
그리고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결승전에서 김창희를 꺾고 보여준 세리머니는 화제만큼의 논란을 낳았습니다. 당시 스파키즈 벤치로 공기밥을 던진 이성은 선수는 유니폼을 모두 벗고 수영복 차림으로 바다에 뛰어들었으며, 무대로 돌아온 이후에도 팬들에게 빠삐코 아이스크림을 던지며 빠삐놈 리믹스에 맞춰 춤까지 선보였습니다. 삼성전자 칸 및 그의 팬들은 크게 열광한 반면, 일부 관객들은 다소 지나친 세리머니였다며 눈살을 찌푸렸고, KeSPA 관계자 역시 "상대 측에서 이의를 제기하거나 상벌위원회 안건으로 들어올 경우 징계 여부를 논의할 수도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차후에 별다른 조치 및 징계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이 사건으로 이성은 선수에 대한 e스포츠 팬들의 호불호는 더욱 극명해졌습니다. 그러나 이후 당시 상대였었던 김창희가 승부조작에 가담한 사실이 밝혀지자 현재 이성은 선수가 행했던 세레모니는 팬들의 환호를 받고 있습니다. 이성은 선수는 송병구 선수, 허영무 선수와 더불어 삼성전자칸의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우승과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우승을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개인리그에서는 곰TV MSL 시즌2 4위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8강을 제외하고는 좋은 성적을 내지못하여 아쉬움을 사기도 했습니다.
이성은은 걸출한 테란전, 저그전과 달리 유독 프로토스전에선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특히 박지호 선수, 김구현 선수. 오영종 선수에게 당한 대역전패가 유명한데, 공교롭게도 박지호 선수와의 경기는 2006년 9월 18일, 김구현 선수와의 경기는 2007년 9월 18일이었습니다.
그 밖에 도재욱 선수, 윤용태 선수, 박영민 선수 등에게도 중요한 경기에서 완패한 경험이 있습니다. 2007년 7월 5일, 곰TV MSL 시즌 2 4강 5경기에서 송병구 선수에게 진 이후부터 2007년 12월 1일에 박지호 선수를 이기기 전까지 방송경기 기준 프로토스전 경기만 8연패를 달리기도 했었습니다.
클럽데이 온라인 MSL 32강에서 김택용 선수를 위시한 3프로토스가 소속된 D조를 2승으로 통과하며 16강에 진출했고, 16강에선 역시 프로토스 유저인 신예 박재영 선수를 2:0으로 꺾는 등 예전과 달라진 대프로토스전 기량으로 팬들의 기대를 불러일으켰으나 8강에서 다시 만난 김택용 선수에게 0:3으로 완패하였습니다.
그 후 로스트사가 MSL 32강에서 2패 탈락한 뒤엔 심한 부진을 겪었었는데, 2009년 4월 19일 벌어진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4라운드 2주차 1경기에서 항상 자신이 우위를 점해온 마재윤에게도 압도적인 패배를 당하였습니다. 이 후 4월 말부터 조금씩 실력을 회복하는 듯 싶었지만 6강 - 준 플레이오프 총 4패라는 참혹한 성적을 남기게 되며 다시금 슬럼프가 더 깊어진 것이 아니냐라는 의혹을 불러 모았는데, 이에 더해 2009년 8월에 라식 수술을 받으러 간 이성은 선수의 눈에서 망막열공이 발견되어 자칫 실명될 수 있던 상황에서 벗어났습니다. 망막 수술 이후 이성은 선수는 3주간 안정을 취해야 했고, 비시즌 기간에 열리는 이벤트성 팀리그 경남 STX컵에는 불참했습니다.
이후 시작된 09-10시즌에도 이성은 선수는 1~2라운드 성적이 4승 9패일 정도로 매우 부진했습니다. 2010년이 되어 시작한 위너스 리그에서 이성은 선수는 SK 텔레콤 T1전의 선봉으로 등장, 고인규 선수, 도재욱 선수, 김택용 선수를 잡는 3킬을 달성하였고, estro전에서도 3킬을 성공하면서 2연속 3킬을 달성하며 살아나는 듯했지만, 다시금 극심한 슬럼프에 빠져 출전 기회조차 잡기 어렵게 되었습니다. 공군으로의 입대를 선택한 이성은 선수는 공군 e-스포츠병 모집에 박지호 선수와 함께 지원, 박지호 선수를 제치고 합격하여 8월 30일 진주공군교육사령부로 입대하였고, 프로리그 10-11 시즌의 개막과 함께 공군 ACE의 주력 테란으로 활동중이죠.
입대이후 이성은 선수는 시즌초반 이재호 선수와 도재욱 선수, 박성균 선수 등을 잡으며 선전을 하는가 싶었으나 갑작스런 부진과 함께 프로리그 10연패및 공식전 10연패에 빠지며 자멸하는 듯 했습니다. 그러나 연패에서 벗어난뒤 폭스전에서 역3킬을 한 이후 급격히 성장한 기량을 보여주며 MBC게임 스타리그#ABC마트 MSL 2010 서바이버에서 조1위로 MSL 본선무대에 오르고 프로리그에서도 한경기 STX전에서 2승을 하며 5월 18일 저그전 6승 4패, 테란전 6승 4패, 프로토스전 6승 4패, 10경기전적 7승 3패로서 입대 이전보다 프로토스전은 오히려 향상됨을 보여주며 입대전보다 더욱 눈부신 활약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이주영 선수, 김경모 선수와 함께 공군 내에서 뛰어난 활약상을 보였었던 선수중 하나입니다.
2012년 9월 4일 공군에서 전역하였습니다. 제대 이후 스타크래프트Ⅱ 프로토스 종족으로 삼성전자 칸에 복귀할 것으로 보였으나 GSTL을 통해 해설로 전격 데뷔하게 되었습니다.
브라끄 - 이성은 선수가 과거 아마시절 디시게이머스 갤러리에서 활동했을 때 사용했던 아이디이죠. 닉의 기원이 '브라끈'에서 'ㄴ'이 탈락해서 생긴 것이다 등 여러 설이 있지만 이성은 선수 본인은 '그냥' 지은것이라고 합니다. 지금도 디시게이머스 갤러리에서 '브라끄'를 치면 그의 과거 활동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블록버스터 테란 - 이성은 선수의 스케일이 큰 플레이스타일을 빗대어 MBC 게임에서 지어준 별명이죠.
세레모니 테란 - 경기 직후 세레모니를 자주하는 행동에서 유래된 별명이에요.
흑성은 - 그의 까무잡잡한 피부에서 유래된 별명이죠. 한때는 비하용이기도 했었으나 요새는 애칭으로도 쓰입니다.
흑운장 - '김밥이 식기전에 게임을 끝내고 돌아오겠다'라는 발언에서 유래한 별명이죠. 실제로 그경기는 이성은 선수가 이겼습니다.
흑스막 - '스타크래프트 막장'의 준말인 '스막' 을 붙인 별명이죠. 이성은 선수는 2009 시즌 초부터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중이에요.
이라크, 이라끄 - 이성은+브라끄를 합친 말, 석유가 까만거랑은 관련이 없습니다.
흑열사 - 마재윤의 조작행위가 만천하에 드러나면서, 유독 마재윤을 일점사한 이성은 선수의 행위가 마치 스타판을 구하기 위한 '열사'와 흡사하다하여 붙여진 별명. ㄵㅈ는 '너 조작' 이라는 뜻이라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2005년 위덕대 전략 시뮬레이션 경영대회 2위
2005년 제3회 에어워크 스타크래프트 대회 4위
2005년 스니커즈 아마추어 스타크래프트 대회 4위
2005년 제13회 커리지 매치 입상
2005년 제 1회 Kespa컵 스타크래프트부문 우승
2006년 스카이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 준우승
2006년 주장원전 5, 6차 우승 7차 준우승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2 16강
2007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3 8강
2007년 곰TV MSL 시즌2 4위
2007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전기리그 우승
2007년 곰TV MSL 시즌3 32강
2008년 곰TV MSL 시즌4 32강
2008년 2007 대한민국 e-SPORTS 대상 베스트 세리머니상
2008년 아레나 MSL 16강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우승
2008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결승전 MVP
2008년 클럽데이 온라인 MSL 8강
2009년 로스트사가 MSL 2009 32강
2009년 아발론 MSL 2009 32강
2009년 EVER 스타리그 2009 36강
2011년 ABC마트 MSL 2011 32강
2011년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시즌 올스타전 MVP
이상 이성은 선수에 대한 소개였습니다.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선수 나주환 (0) | 2013.06.14 |
---|---|
야구선수 이재영 (0) | 2013.06.13 |
프로게이머 김슬기 (0) | 2013.06.12 |
e스포츠 감독 이운재 (0) | 2013.06.12 |
e스포츠 해설가 김동준 (0) | 201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