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LPL 대권을 노릴 후보로 지난 롤드컵 준우승 팀인 빌리빌리 게이밍(BLG)을 비롯해, 징동 게이밍(JDG), 인빅터스 게이밍(IG), 탑e스포츠(TES), 웨이보 게이밍(WBG) 등이 꼽히고 있다. 이중 JDG, IG, TES, WBG이 각각 김대호 감독, 양대인 감독, 윤성영 감독, 정노철 감독을 새롭게 선임했다.
2023년 '골든 로드'에 도전했던 JDG의 2024년은 아쉬웠다. '369' 바이자하오, '나이트' 줘딩 등의 공백을 결국 메우지 못했고, 롤드컵 진출에 실패했다. 아픈 한 해를 보낸 JDG는 2025년을 앞두고 김대호 감독에게 사령탑을 맡겼다. 이에 더해 '스카웃' 이예찬, '페이즈' 김수환, '쉰' 펑리쉰, '아러' 후자러 등 경쟁력을 갖춘 스쿼드를 꾸린 상황이다. 유망주 육성에 강점을 보여 온 김 감독이 이미 완성된 선수들로 구성된 2025년 JDG에서 보일 성적에 관심이 모아진다.
1년의 휴식기 후 감독직에 복귀한 윤성영 감독의 행선지는 TES였다. 윤 감독은 2023년 JDG와 함께 LPL 스프링과 서머,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정상에 선 것을 비롯해, 감독 생활 내내 좋은 커리어를 남기며 명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력한 로스터를 구성한 TES의 감독을 맡은 상황에서, JDG서 함께 호흡을 맞춘 바 있는 '카나비' 서진혁까지 팀에 합류했기에 좋은 성적이 예상된다.
올해까지 LCK의 해설로 활약했던 정노철 감독은 양대인 감독이 떠난 WBG에 새 둥지를 틀었다. 2023년부터 2024년까지 2년간 현장을 떠나있긴 했지만, 정노철 감독은 락스 타이거즈 시절 LCK 우승을 이끄는 등 지도력을 발휘한 바 있다. 특히, 에드워드 게이밍(EDG), IG, 빅토리 파이브(現 닌자스 인 파자마스) 등 LPL에서도 활동한 경험을 가진 만큼, 빠르게 리그와 팀에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LPL 강팀들에 자리를 잡은 한국 감독의 첫 쇼케이스는 16일부터 시작될 컵 대회인 데마시아 컵이 될 예정이다. 데마시아 컵에는 BLG를 제외한 팀들이 1군 전력으로 나서기에, 본격적인 시즌 시작을 앞두고 한국인 사령탑들의 지략 대결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 출처 : 데일리e스포츠
'리그오브레전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O리그 ‘김도영’, e스포츠는 ‘페이커’로 통한다! 국내외 ‘최고상’ 싹슬이 [SS시선집중] (0) | 2024.12.17 |
---|---|
'2024 이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식', 19일 이스포츠 명예의 전당에서 개최 (0) | 2024.12.17 |
프로게이머 ‘라스칼’ 김광희의 이야기 ② (0) | 2024.12.15 |
젠지, 라이벌 디알엑스 2-0 제압...美 NRG와 SVL 결승 격돌(종합) (0) | 2024.12.15 |
2024 LCK 어워드, 오는 29일 DDP 개최...'삼파전 양상' 예상 (0)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