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핀 비에스톨

Talon 2025. 5. 12. 15:20

오늘 소개할 선수는 바로~

핀 비에스톨 선수입니다~!

 

Blomster Finn이라는 아이디를 쓰던 탑솔러. IceBeasto와 Sacre, 다소 양보해서 Werlyb 정도를 제외하면 개인기량이 뛰어난 탑솔러의 씨가 말라버린 EU Masters에서 메카닉은 확실히 고평가할 여지가 있는 신인이었습니다. 다만 맵리딩과 팀게임 경험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2018년 NIP에서 모비스타 라이더스로 이적했습니다. 모비스타에서 조금씩 운영 뇌를 장착하고 있으나 여전히 초반 라인전도 좀 그렇고 특히 스플릿 구도에서 갱 냄새를 잘 맡지 못하는 경기가 많습니다.

2019 시즌에 이상할 정도로 픽업이 안 되는 3인방과 달리 프로핏이 폭망한 로그에서 기회를 잡았습니다. 다만 우르곳, 사이온으로는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1갓 G2를 상대한 7주차 1경기는 상대 정글 눈치를 과하게 보다가 잭스로 원더의 이렐리아에 탈탈탈 털려 품번을 찍기도 했습니다. 이상하게도 핀-와디드 조합은 아직 시험이 된 적이 없었습니다. 2019년에는 솔랭 1위도 찍었습니다. 서머에는 혼자만 프로핏에 밀려서 출전하지 못하다가, 7주차에야 투입되었습니다. 8주차 2경기 키아나로 하드캐리, 이쯤 되면 2019 서머 유럽의 2대 미스터리는 왜 피레안을 진작 빼지 않았나와 왜 프로핏을 진작 빼지 않았나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포텐이 터지기 시작했습니다.

2020 시즌은 3경기째에 세트로 알파리의 아트록스에 역상성 구도로 탈탈탈 털리며 엄청난 욕을 먹었지만, 그 경기 외에는 원더가 탑 소라카빨이 너무 심해서 열외라는 평가를 받는 가운데 알파리 다음가는 탑솔러는 되는 엄청난 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클레드 장인답게 레넥톤 장인 알파리와 비교해도 좀 더 특이한, 소위 변태적인 탑신병자 성향을 보였습니다. 당시 LCK에도 이 선수와 성향이 비슷한 탑솔러가 나타났는데 바로 같은 클레드 장인 출신인 도란이었습니다. 2연패 후 빠르게 세트 숙련도를 끌어올린 시점, 유일한 단점은 알파리에게 유독 약하다는 것.

 

정규시즌 마지막 날 오도암네 상대로 이렐리아로 갑자기 멸망하면서 팀의 4강 시드 희망을 스스로 완전히 박살내버렸습니다. 브루저 의존도가 높은 핀에게 짤챔프나 갱플, 때로는 탱커를 주는 픽밴에 힘입어 서머에는 기복이 굉장히 큰 편이었습니다. 2020 섬머 시즌 맛이 간 G2에게 정신 나간 쓰로잉으로 다 이긴 경기를 내주는 주범이 되었는데, 글로벌골드 5000 이상으로 앞서고 있는 상황에서 기적같이 20분 이후 핀이 사이온으로 환장의 쓰로잉을 하면서 역전패의 선봉장 역할을 하였습니다.

20분 이후 팀원 전체가 주사위가 랜덤으로 돌리는 플레이를 하긴 하지만, 핀은 거의 3분 단위로 주사위를 굴리는 수준으로, 20분 이후 로그가 불리해지는 원흉은 거진 핀이라고 봐도 무방한 수준.

시즌이 갈수록 MAD의 휴머노이드와 함께 2강 팀을 동네북으로 만든 원흉인데, 그냥 CS부터 포스트시즌의 오로메(...)가 양반으로 보일 정도로 말도 안되게 밀렸습니다. 9월 6일, 지면 롤드컵 3번 시드가 되는 결승빵 매치인 G2와의 경기에서 5세트 내내 cs를 기적같이 흘려먹으며 시리즈 내내 성장이 원더에게 밀렸습니다. 이미 밑천이 드러날 대로 드러난 원더 상대로도 저 정도인데 롤드컵에서는 한술 더 떠서 세체탑을 두고 정상결전을 하고 있는 너구리, 줌을 맞라인으로 상대해야 하는 최악의 업보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2주차에는 확실히 나아진 라인전을 보여줬으나 인스파이어드의 그브 트롤로 징동전을 날려먹고 라센까지 2주차에 폼이 무너지면서 쓸려갔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빈이나 그 상위호환인 더샤이, 너구리처럼 폭발적인 원맨쇼를 보여줄 수 없다면 팀 게임을 더 철저하게 배워야 하는데, 핀은 자신과 비슷한 부류인 369나 도란처럼 팀을 위하는 법을 배우면서 적절히 캐리력을 보여주지도 못하고 반대로 오롯이 PCS 2시드를 힘으로 뚫어내지도 못했습니다.

2021 시즌 결국 북미행을 선택하고 2020년 11월 17일 CLG와의 계약을 확정지었습니다. 1월 10일 GCD 상에 경쟁 탑 라이너로 솔로가 영입된 것이 확인되면서, 주전 경쟁을 치르게 생겼습니다. 그리고 시즌 개막 후 다행히 6개월짜리 단식수련을 관두긴 했는데, 브로큰 블레이드와 리그를 바꿀 때 뇌도 함께 맞교환한 듯한 뇌절을 보여주며 주말 아침 막장드라마의 감초로 활약 중에 있습니다. 그래도 GG전에서 본인보다 더 뇌가 없는 대학리그 출신 솔랭전사 나일스를 아트록스로 씹어먹고 팀의 전패를 끊어낸 데 이어, C9전에서 단식을 그만둔 핀트록스의 무서움을 제대로 다시 한번 보여주며 1vs9 캐리 목전까지 가서 개인기량에 대한 평가는 많이 올라갔습니다. 

 

결국 이후 2경기에서는 탑밴만 3장씩 받아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과 잘 어울리지 않는 이미지의 나르로도 100T전에서 7/1/7로 분전하였습니다. 4주 2일차는 나르를 또 픽했지만 후니의 코리안 제이스에 일방적으로 얻어맞고 지속적인 스노우볼링을 당하며 게임에서 지워졌습니다. 그런데 4주 3일차에 아트록스를 능가하는 진짜 장인챔프 클레드를 꺼내 스무디의 렐과 함께 한타를 박살내고 대역전승의 주역이 되었습니다.

5주 1일차, 제법 유망하던 북미 신인 리벤지를 상대로 재능의 차이를 보여주며 승리하였습니다. 6주 3일차, EG와의 경기에서 이렐리아를 꺼내 들고 라이즈를 상대로 7년 동안 깨지지 않던 퍼스트 블러드 최단 시간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아쉽게 팀의 노답성과 임팩트의 꾸준함, 후니의 막판 스퍼트에 밀려 올프로 입상에 실패하긴 했지만, 20 서머 나락으로 떨어졌던 핀 자신의 평판을 확실하게 반전시킨 시즌이었습니다.

안타깝지만 서머는 브록사의 부활에도 불구하고 본인의 기복이 스프링보다 훨씬 좋지 않은 쪽으로 커졌습니다. 결국 시즌 종료 후 CLG에서 단체로 방출되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EXCEL로 이적한 22 시즌은 사실상 핀에게 마지막 기회인 셈.

2022 시즌에는 놀랍게도 라인전이 대각성한 정도는 아니지만, 로그에서의 첫 1년이나 CLG에서의 스프링 시즌 못지않은 좋은 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키엑스가 돌아온 이후로 라인전 이후의 활약은 여전히 좋습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 1세트에서 전성기 더샤이가 떠오르는 화려한 이렐리아 플레이로 자신의 천적 알파리를 박살내고 BB와 쌍벽을 이루는 유럽의 캐리형 탑솔러로 자리 잡는 듯했으나 귀신같이 2세트부터 20 서머 모드로 회귀해 푸짐하게 싸며 다전제를 시원하게 말아먹었습니다.

그러나 불쾌한 천적관계가 부활하나 싶었던 마무리를 뒤로 하고, 서머에는 진짜로 라인전이 각성한 것 아닌가 싶은 폼을 보여주는 상태. 그러나 2라운드에는 1라운드에 압살했던 알파리에게 자신의 여러 가지 의미로 시그니처 픽 갱플랭크를 잡고 초반부터 나르에 솔킬따이고 압살 당해서... 핀이 동양 팀과 스크림하고 라인전을 깨쳤다는 넬슨의 호언장담이 무색해지고 말았습니다. 포스트시즌도 원더를 솔킬내는 핀과 김동준 해설의 한탄을 이끌어내는 핀을 번갈아 보여주며 시즌을 마무리했습니다. 결국 슈젠더에 밀려난 오도암네에 밀려 미아가 됐다는 루머가 떴고, 이후 05년생 칼센의 챔프폭과 디테일 측면에서 성장시간을 좀 더 벌어야 하는 아스트랄리스가 마음을 바꾸어 핀을 영입한다는 루머가 떴습니다. 아마도 클레드 장인 핀의 앞으로 남은 LEC 커리어는 스웨덴 도란도 아니고 스웨덴 더샤이는 더더욱 아니고 라인전이 강하지 못한 스웨덴 957...로 종료될 듯합니다.


2023 시즌 팀이 5전 전패를 달리는 와중에 데이요어에 쉽게 뒤처지지 않는 극악의 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도암네를 상대로 솔킬을 따내고, 갱플로 1인 캐리를 해내는 등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며 바텀과 함께 팀을 먹여 살리고 있습니다.

그렇게 분전해서 팀의 페이즈 2 진출에 힘을 보탰건만, 그 페이즈 2에서는 매드와의 멸망전 한껏 열기가 달아오른… 3세트에 바텀 카시오페아 서폿 트위치라는 매운맛 조합에서 1AD 잭스를 담당했는데 트위치의 과감한 탑 로밍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방생 직후 족족 죽어주면서 게임을 멸망시켰습니다. 그래도 뭔가 원인은 다르지만 야생성이 비슷한 아담을 서열정리하고 페이즈 2 최종전까지 진출하면서 또 명예회복에 성공했습니다.

2024 시즌 아스트랄리스가 시드권을 매각하면서 팀을 나오게 되었지만 윈터 시즌에서는 팀을 구하지 못했습니다. 이후 윈터 정규 시즌 종료 후 뜬금없이 로그의 탑 라이너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답이 없는 로그에서 슈젠더보다 아주 크게 못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운0팀 탓인지 본인의 기량 감소 탓인지 특유의 고점마저 거의 사라지면서 사실상 완벽하게 폭망은 안했지만 기대치에 비해서는 망한 대형 유망주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이후 2024년 12월 13일 소속팀 로그와 계약을 종료하고 현재는 LEC 2025 시즌 전력 분석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핀 비에스톨 선수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