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L 283

1.15 경기 일정

2025 LCK컵1주차■ OKSavingBank BRION VS DRX■ DN Freecs VS Nongshim RedForce뿌챔스 20254강~결승출전 선수■ 방배우■ 스카우터■ 김민교■ 김찌롱LiuLi Cup2024 Grand Finals출전 선수■ 박령우 (Dark)■ TL | Clem■ OS | Krystianer■ WBG | JieshiLPL 2025 Split 11주차■ Weibo Gaming VS Ultra PrimePGL Wallachia S3 SEA CQ최종전출전 팀■ Talon Esports■ BOOM Esports■ Execration https://vod.sooplive.co.kr/player/148194085 1.15 1부 오늘의 e스포츠!광주,입문,분석,e스포츠,리그vod.so..

'타잔' 이승용의 AL, LPL 다크호스로 떠오르나

'타잔' 이승용이 몸담고 있는 애니원즈 레전드(AL)가 중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LPL) 개막을 앞두고 다크호스로 주목받고 있다. AL은 지난 주말 마무리된 데마시아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전에서 윤성영 감독이 이끄는 탑 e스포츠(TES)를 맞아 3 대 1 승리를 거뒀다. 데마시아컵은 본격적인 LPL 개막에 앞서 열리는 컵 대회다. 프리 시즌 대회고 새로운 시즌 패치가 적용된 것도 아니었지만, LPL 내로라하는 강팀을 제치고 정상에 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AL은 2024년 스프링서 11위에 머물렀다. 아쉬운 성적으로 인해 스프링 도중 로열 네버 기브 업(RNG), 빌리빌리 게이밍(BLG) 등을 이끌고 성과를 낸 적 있는 '타베' 웡박칸에게 지휘봉을 맡겼고, 서머에서는 스프링에 비해 나아..

LPL에 새 둥지 튼 韓 감독들…지략 대결 기대감 상승

내년 1월 개막을 앞두고 중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LPL)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025년 LoL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이 중국에서 열리는 가운데, 자국에서의 롤드컵서 세계 정상을 꿈꾸는 몇몇 LPL 팀들이 강력한 로스터를 꾸렸기 때문. 그중에서도 정상에 도전할 만한 팀 중 4팀의 지휘봉을 한국인 감독이 잡게 됐다. 2025년 LPL 대권을 노릴 후보로 지난 롤드컵 준우승 팀인 빌리빌리 게이밍(BLG)을 비롯해, 징동 게이밍(JDG), 인빅터스 게이밍(IG), 탑e스포츠(TES), 웨이보 게이밍(WBG) 등이 꼽히고 있다. 이중 JDG, IG, TES, WBG이 각각 김대호 감독, 양대인 감독, 윤성영 감독, 정노철 감독을 새롭게 선임했다. 2023년 '골든 로드'에 도전했던 JDG의..

젠지 김정수 감독, "첫 상대 LPL 팀 부담...그렇지만 우리 목표 스위스 아냐"

"첫 경기부터 LPL 팀이라서 부담스럽지만 우리 목표는 스위스 스테이지가 아니다."LCK 2번 시드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월즈)에 나서는 젠지 e스포츠 김정수 감독이 첫 상대인 LPL 팀에 대해 부담스럽지만 우리 팀은 스위스 스테이지가 아니라며 자신감을 피력했다. 김정수 감독은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그랑서울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롤드컵 LCK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LPL 팀들이 경계되며 그중 1번 시드인 빌리빌리 게이밍(BLG)은 강력한 팀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롤드컵서 2번 풀에 속해있는 젠지는 3번 풀에 속한 팀과 스위스 스테이지 첫 경기를 치른다. 올해부터 같은 지역의 팀은 첫 경기부터 대결할 수 없다는 라이엇 게임즈 규정에 따라 젠지의 첫 상대는 리닝 게이밍(LNG..

웨이보 게이밍/Road to 2024 Worlds

Road to 2024 Worlds 16번째 주인공은 바로~웨이보 게이밍입니다~! 4시드로 월즈 준우승이라는 업적을 세운 작년 로스터 중 샤오후, 라이트, 크리스가 다년 계약으로 묶여 있는 상황에서 더샤이, 카사, 웨이웨이의 계약이 종료됩니다. 12월 3일, 카사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습니다. 8일, 양대인 감독과 재계약을 발표했습니다. 12일, 웨이웨이와 더샤이의 계약 종료가 발표했습니다. 더샤이는 아예 스프링에 휴식기를 가진다고 합니다. 또한 새로운 탑, 정글로 Anyone's Legend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 Zdz, 샤오하오 영입하면서 로스터를 완성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샤이의 휴식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이 나왔는데 본래 더샤이가 잔류와 휴식에서 고민하던 중 웨이보는 더샤이가 휴식할 것을 염려..

소개 2024.09.21

리닝 게이밍 나인봇 e스포츠/Road to 2024 Worlds

Road to 2024 Worlds 13번째 주인공은 바로~리닝 게이밍 나인봇 e스포츠입니다~! 정글러로 웨이웨이를 영입하고, 당초 재계약 없이 팀을 떠난다는 루머가 나왔던 미드라이너 스카웃과 원거리 딜러 갈라와 재계약 루머가 나왔습니다. 11월 30일, 악명 높은 Poppy 코치의 계약 종료 발표를 시작으로 스토브를 시작했습니다.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팀을 나온다는 소문이 퍼졌던 타잔이 12월 12일에 FA로 풀렸으며 같은 날, U 코치와 스카웃, 갈라의 재계약 및 웨이웨이와 마크의 영입을 발표했습니다. 특이한 점으로 주전 서포터로 활약했던 항이 있는 상황에서 마크를 영입했는데, 갈라와 마크는 TT의 전신인 Dominus Esports에서 약 2년 간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으며 2023 월즈에서 보여준..

소개 2024.09.18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 더 밝은 미래의 기반 마련

2025년과 함께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에 찾아올 신나는 변화를 말씀드립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가 더 밝은 미래를 향해 도약할 수 있게 2025년에 아래와 같은 변경 사항을 도입하고자 합니다. 이로써 팬과 선수를 위해 더 신나고 경쟁적인 환경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3번째 연례 국제 대회 신설 / 혁신적인 ‘피어리스 드래프트’ 형식 1급 대회에 도입 / 모든 리그의 스플릿 일정 통일 / 아시아 태평양 및 아메리카스에 다지역 리그 결성 제안 / '초청팀’ 자리 및 승강제 시도 / 리그별 국제 대회 출전권 새로 배정이러한 진화는 리그 오브 레전드 이스포츠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여러분의 시간이 보다 가치로울 수 있게 도입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보완합니다. 새로운 국제 대..

탑 e스포츠/Road to 2024 Worlds

Road to 2024 Worlds 12번째 주인공은 바로~탑 e스포츠입니다~! 2023년 12월 2일 미드라이너 루키와의 계약 종료 소식을 전했습니다. 대체자로 OMG의 미드라이너 크렘을 영입한다는 루머가 나왔습니다. 탑으로 징동과 계약이 종료된 369를 영입한다는 루머와 정글러 티안과의 재계약 루머가 나왔습니다. 루머대로 12월 2일에 티안과의 재계약, 크렘의 영입 소식을 전했습니다. 또한 12월 7일에는 웨이와드의 계약 종료를 발표했습니다. 이후 8일에 369의 복귀 소식을, 11일에 마크의 계약 종료 소식을 전했으며 12일에는 무려 메이코 영입을 발표하며 로스터를 완성했습니다. 데마시아컵에서는 WE, UP, 아마추어 팀 EQX와 한 조가 되었고,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하였습니다. 그러나 8강에..

소개 2024.09.17

빌리빌리 게이밍/Road to 2024 Worlds

Road to 2024 Worlds 5번째 주인공은 바로~빌리빌리 게이밍입니다~! 2023년 12월 5일 감독인 타베가 떠나는 것을 시작으로 스토브를 시작했습니다. 다만 야가오와 온을 제외한 빈, 슌, 엘크는 2024년까지가 계약인만큼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였습니다. 루머로는 야가오와 나이트가 팀을 스왑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12월 8일, 야가오가 팀을 나갔고 같은 날 징동으로 영입됐다는 오피셜이 나왔습니다. 이후 12월 12일에 나이트의 영입, 스프링 끝나고 팀을 떠났던 뤼마오의 복귀, 온의 계약 연장까지 발표하면서 2023 MSI 준우승 및 월즈 4강 전력을 거의 온전히 보존에 성공했습니다. 거기다 나이트까지 영입하면서 LPL 우승은 물론 국제전까지 노려볼 수 있는 스쿼드를 완성했습니다. 다만, ..

소개 2024.09.10

[LPL] '순혈이 미래다' BLG, LPL 2연속 정상 등극

WBG는 롤드컵 이어 리그서도 '준우승' 이어가순혈 최강자들의 힘은 막을 수 없었다.지난 30일, 중국 장쑤성 난징 유스 올림픽 스포츠 파크에서 펼쳐진 2024 LPL 서머 결승전에서는 비리비리 게이밍(BLG)이 웨이보 게이밍(WBG)을 3-0으로 제압, 2024년 '중국 최강'으로 우뚝 섰다.지난 4라운드(3-0 완승, BLG)와 마찬가지로 WBG는 아쉽게도 상대조차 되지 않았다. 1세트에서는 엘크(카이사)가 일찌감치 승부를 돌려세웠다. 12분 탑 라인 기습 라인스왑을 통해 2킬을 따낸 엘크는 전령-용 싸움에서 연패한 상황에서도 노데스를 유지, 24분 바론교전에서 웨이(릴리아)의 바론스틸 이후 트리플킬을 만들어내며 그대로 경기를 끝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냈다. 그야말로 압도적이었다. 2세트에서는 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