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나이트

포나월드컵 180만 달러 주인공 해리슨 장 "한국인의 피가 게임을 더 잘하도록 만들어줘!"

Talon 2019. 9. 23. 11:08
국내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한국은 ‘e스포츠 종주국’으로 불린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빠르게 확산된 ‘국민게임’ 스타크래프트를 기반으로 지금의 e스포츠 모델이 만들어진 곳이 한국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 세계 곳곳에서 열리는 각종 e스포츠 대회에서 한국 e스포츠 선수들이 뛰어난 활약을 펼치고 있으니 e스포츠 팬들은 자연스럽게 한국을 e스포츠 종주국으로 받아들인다.

지난 7월 29일(미국시간) 미국 뉴욕 애시 스타디움에서 열린 ‘포트나이트 월드컵’에서도 한국이 왜 e스포츠 강국이자 종주국인지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줬다.

총상금 3000만달러, 우승상금 300만 달러를 두고 100명의 선수들이 참가한 포트나이트 월드컵에서 한국계 미국인인 해리슨 장(24)이 미국의 16세 소년 카일 기어스도프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180만달러(약 21억4000만원)의 상금을 거머쥐었다. UCLA 학생이라는 타이틀을 마다하고 프로게이머의 삶을 선택한 해리슨 장과 서면 인터뷰를 통해 e스포츠 선수로서의 삶과 한국 e스포츠에 대한 생각을 들어봤다.

- 도타 2,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등 AOS 장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온 것 같다.
제가 도타 2에서 순위가 높은 선수(Top Player)로 활동활 때는 아직 도타 2 리그가 크게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여서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쉽지 않을 거라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UCLA로 진학했습니다. 1년 후 흥미를 위해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을 시작하게 됐는데, 성적이 좋았습니다 그래서 경쟁전에 참가하게 됐고, 결국 2년 동안 북미 최고의 자리에 오르게 됐죠. 2016년에 블리즈컨 월드챔피언십에 진출하게 되면서 UCLA를 그만두고 전업 게이머가 되기로 결정했습니다.

- 전혀 다른 장르 배틀로얄 게임인 ‘포트나이트’에서 좋은 기록을 만들었다. 전혀 다른 게임 장르에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이유는?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즐겼어요. 게임을 플레이할 때는 항상 전략과 의사결정(decision making)에 있어 이해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는 했죠. 이 두 가지 특성은 어느 게임에서든 대단히 중요했고, 프로 선수 레벨에서의 승패에 결정적인 요인이 됐습니다.

해리슨 장


- 프로게이머를 직업으로 선택하게 된 계기는?
저는 게임을 플레이하고 경쟁하는 것을 매우 좋아합니다. 그리고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돈을 번다는 것이 제 꿈이었기 때문에 프로게이머를 선택하게 됐습니다.

- 포트나이트로 종목을 전환하게 된 이유는?
포트나이트가 아주 새롭고 신선한 게임이었기 때문입니다. 포트나이트가 제 커리어와 브랜드를 위해 큰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해 포트나이트로 전환하게 됐습니다.

- 포트나이트 e스포츠의 매력을 말해준다면?
포트나이트에서 건설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가장 좋아합니다. 포트나이트를 다른 게임들과 다르게 만들어 주는 요소지요. 더 극적으로, 더 큰 기술 격차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건설과 편집을 통해 상대를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은 포트나이트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점입니다.

- 한국 e스포츠를 접한 경험이 있는가?
한국의 e스포츠들을 자주 보고, 또 학습도 하고 있습니다.

- 특별히 국내 프로게이머 가운데 좋아하는 팀이나 선수가 있다면?
리그오브레전드 한국 리그 롤챔스에서 활약하고 있는 젠지팀의 리치(이재원) 선수입니다. 리치 선수는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 활동활 때 제가 제일 좋아하는 라이벌이었습니다.

- 자신이 한국계라는 것이 선수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제 몸에 한국인의 피가 흐른다는 것이 제가 게임을 더 잘하도록 만들어 준다고 생각합니다

- 한국인들이 게임 특히 e스포츠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가 있다고 보는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해 중국, 일본 등 많은 아시아 국가들의 사람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IQ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많은 게임에서 전략과 빠른 의사결정이 중요한데, 제 생각에는 그러한 부분에서 높은 IQ가 큰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또한 한국 선수들의 연습량도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방대한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