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할 선수는 바로~
따효니 백상현 선수입니다~!
前 하스스톤 프로게이머이자 트위치에서 하스스톤과 각종 종합 게임을 방송하는 스트리머이자 DIA TV 소속입니다.
따효니 백상현은 한국 내에서, 그리고 외국에서도 유명한 하스스톤 선수였습니다. 하스 초창기부터 게임을 하면서 팀장 ANGEL7777, 유명 스트리머 Massan Prister 등이 속해 있는 정의구현 팀으로 활동하다가, 2015년 12월부터는 타요, 코둘기, Honbee, 먼치킨화가 소속된 NNA 팀의 리더로 활동했습니다. 2016년부터는 Cloud 9 소속이 되었습니다.
한때 아프리카에서 개인방송을 진행했으며, 현재는 트위치에서 방송 중입니다. 개인방송의 인기도 상당히 높아서 하스만 켰다 하면 전성기 당시에는 시청자가 최소 수천에서 최고 1만대까지 치솟는 것은 부지기수고, 엑소더스 이전 KR트위치를 먹여 살렸을 정도였었습니다. 팬덤도 꽤 커서 2016년 7월 따효니의 팬이 만든 DDA.AC는 후에 국내 하스계의 유명 사이트 중 하나로 떠올랐을 정도. 정작 개인 팬사이트는 2018년 4월 7일 따효니 닷컴이라는 곳이 새로 생겼습니다.
한때는 하스스톤 외에 다양한 게임을 플레이하며 트위치 매트릭스 기준 개인방송 평균 시청자 수 최상위권에 랭크되어 있었고, 훈훈한 외모, 지각 제외 건실한 이미지와 위화감 없이 게스트를 편하게 해 주는 능력으로 한때 합방과 게스트 출연 스케줄이 꽉꽉 차 있던 대기업 방송인이었습니다.
스트리머로서는 소위 대기업이라 부를만큼 인기가 올랐었지만, 2018년 이후로 하스스톤 프로게이머로서는 점점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5년 6월 시즌에 랭킹 1위를 달성했던 적도 있고, 한동안 대회에서 준수한 성적도 냈었지만 2017년 시드니에서 열린 하스스톤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이후로 각종 대회에서 예선에서 탈락하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개인 방송에서 등급전을 플레이하면서도 과거보다 눈에 띄게 승부처에서 실수가 늘었습니다. 랭크 박제도 과거보다 많이 버거워하고 자주 박제에 실패하다가 2018년 10월 랭크 박제를 실패하면서 윈터시즌 대회 출전권을 얻는데 실패하였고, 결국 2019년 2월 인벤 한중 인비테이셔널 경기에서 보여준 경기력 논란을 기점으로 프로 생활을 잠정적으로 중단하겠다고 의사를 밝혔습니다. 이후로는 하스스톤 위주 게임 전문 스트리머로서 활동중. 프로로서의 실력 및 지각 논란과 타 게임의 플레이 등으로 한때 인기가 내려갔지만, 하스스톤 프로로서의 모습을 내려놓고 게임을 즐기는 스트리머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며 꾸준한 방송을 통해 인기 대기업 스트리머로서의 자리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4년
인벤 하스스톤 클랜 챔피언십 MVP
WEC 한국 예선 3위
2015년
HCC 시즌3 4강
고블린컵 시즌1 #31 우승
다음팟 초청전 우승
아프리카 BJ리그 3차 4강
트위치 오픈기념 토너먼트 4강 / 프리미어리그 시즌1 24강
2016년
룬미디어 하스스톤 H1 스페셜 우승 / 시즌3 16강
트위치 프리미어리그 시즌3 8강
HCT Winter 한국 대표 선발전, APAC 우승
ONE 특별전 우승 / 월드 챔피언십 16강
KeSPA Cup 4강
2017년
인벤 인비테이셔널 C9 VS 한국 국가대표 이벤트 매치 우승
제2회 케로컵, HTC Spring 야생 올스타 준우승
글로벌 게임 4강
고블린컵 5회 스페셜 초청전, HST 10회차 우승
시드니 하스스톤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한국 하스스톤 인비테이셔널 16강
HTC 2017 Winter 8강
2018년
HCT Tour Stop Seoul 32강
박사 붐의 폭심만만 프로젝트 사전 체험 이벤트전 4강, 인비테이셔널 3판 전승 및 종합 우승
제 1회 케로컵 따랜드파이널 16강 및 최종 보스
HTCK 2018 시즌 2 8강
2019년
HTC KR VS CN Invitational 4강
인벤 오토체스 인비테이셔널 4위
달라란 침공 타임어택 최종 우승
인벤 TFT 인비테이셔널 A조 7위
공포의 무덤 인비테이셔널 우승
2019 DNG 동현아 노게임 멸망전에서 승
스트리머컵 1회 - 레무기훈컵 : 전장 배틀런 공동 2위, 7회 - 레무기훈컵 : 토너먼트 8강
2020년
스트리머컵 8회 - 4강 토너먼트 3위, 14회 - 전장 초청전 3위, 16회차 - 한가위 돌축제 준우승
아웃랜드 인비테이셔널 준우승
전장 난투 : 해적 대소동 3위
스칼로맨스 아카데미 인비테이셔널 - 한국 vs 대만 팀 초청전 준우승
AMD 자낳대 시즌 2 우승
광기의 다크문 축제 인비테이셔널 - 한국 vs 대만 팀 초청전 3위
하스스톤 다크문 결투 축제 4위
블리자드 트라이애슬론 2020 우승
2021년
스트리머컵 1회 - 대전 팀배틀 C9 vs TTS 우승
설맞이 돌축제 - 2021 스트리머컵 3회 3위
스트리머 전장난투 - 2021 하스스톤 스트리머컵 5회 지상계 리그, 대전 팀배틀 - 2021 하스스톤 스트리머컵 6회 준우승
불모의 땅 인비테이셔널 개인 10위
하린이날 돌축제 - 2021 하스스톤 스트리머컵 7회, 멸망전 하스스톤 2021 시즌 1 준우승
초창기에는 주술사 플레이어로 유명했으며, 용방밀 등으로 높은 랭크를 찍곤 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밸런스 있게 덱을 잘 다루는 편이지만 매번 빅픽쳐를 그리는 그의 플레이 스타일을 보면 기본적으로 컨트롤과 템포 덱을 선호하는 듯하며 그가 만든 해룡전사는 괜찮은 성적을 낸 적도 있습니다. 사제 공략이 배틀넷 공략에 올라가기도 했습니다.
덱 운영 스타일이 독특한데, 현재의 안전한 이득을 생각하는 일반적인 플레이보다는 독특한 덱을 기반으로 다음 턴 혹은 그 다음 턴까지 명치를 맞는 한이 있더라도 상대방의 손해 혹은 자신의 이득을 극대화시키는, 그야말로 빅픽처 오브 빅픽처 스타일로 게임을 폭넓게 바라보는 운영을 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난투는 상대방 핸드 3장 이하 전까지는 쓰지 않는 등의 방식. 큰 그림이 그려지면 아주 크게 이득을 보나, 그에 반해 손패가 말리면 말 그대로 캔버스가 찢어져 버리듯이 집니다. 거의 30장을 다 보는 플레이를 하다 보니 방밀, 탈진전 계열에 능숙하고, 바로 이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의 운영 스타일 때문에 이기면 운빨로 이겼다고 까이고 지면 욕심 좀 그만 부리라고 까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덱메이커 드립이 나올 때마다 항상 이름이 적어도 한 번쯤은 거론될 정도로 덱메이킹 실력이 좋습니다. Savjz가 2둠해머를 처음 들고 나오기 전에 인벤 대회에서 따효니가 이미 2둠해머덱을 가져온 적도 있었습니다. BJ 쥬팬더가 주최하는 BJ 리그에서는 용도적 같은 특이한 덱을 들고 오기도 했습니다.
실력과 덱 메이킹 능력도 검증되었지만 유독 오프라인 리그의 성적은 좋지 않았습니다. 타 스트리머의 방송에서 자신감을 드러냈으나 돌아온 것은 비웃음뿐. 오죽하면 8강전에서 패배했던 로맨틱겨울의 방에서 한 말이 압권. "형, 저도 대회로 바빠 봤으면 좋겠어요..."
이러한 안습의 절정으로, HWC 2015 라스트콜 예선 당시 부전승으로만 4회전이나 공짜로 진출 1차 시드를 받은 선수들과 1차전을 치렀으나 탈락하였습니다. 따효니도 이때 무언가 크게 느꼈는지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시즌 4 예선은 방송도 거르고 연습에 연습을 하였습니다. 덕분에 늘 1차전에서 마셨던 탈락의 고배를 이번에는 3차전에서 마셨습니다...
같이 하스돌을 진행하는 DawN는 이러한 부진의 원인으로 본인 스타일에 대한 고집을 꼽았습니다. 실제로 HCC에서도 보여 주듯이 그가 승리의 주역이거나 역적이 되는 경우는 이러한 독창성, 빅픽처로 대표되는 그의 스타일 때문이었습니다. 장기적인 부진이 계속되는 것은 선수 커리어상으로 분명히 아쉬운 점입니다.
하지만 2016 HCT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우승하고, 거기에 HCT APAC에서 쟁쟁한 해외 선수들까지 물리치면서 아시아 챔피언이 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따효니만의 큰 그림을 그리는 운영법은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전사 운영법은 한 수 더 앞서 보며, 묘수풀이를 보여 주는 따효니만의 특별한 장기입니다. 최근 인벤 리그에서 말리고스만 필드에 5개를 까는 것을 보면 일반적인 플레이를 하는 선수가 아닙니다.
동갑내기 친구 룩삼은 자신의 개인방송에서 따효니를 게임 내 플레이는 여타 게이머들과 별 차이가 없지만 밴픽 측면에서 강세를 보이는 선수라고 평가했습니다.
또다른 친구 DawN은 따효니의 장점이자 단점은 예측불허 단 한마디로 정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상대 입장에서는 도저히 무슨 덱을 들고와 어떻게 플레이할지가 예측이 안되지만 같은 편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인벤에서 DawN, 기무기훈, 타요와 함께 하스돌을 진행했었습니다. 시즌1 당시 따효니가 학생 신분이어서 지각이 잦았으나, 2016년은 스트리머로서 집중을 하기 위해 휴학을 했으므로 지각하는 모습이 없어진 편입니다. 2017년 3월 24일 자 하스돌에서 1시간 정도 지각하였습니다.
아프리카배 BJ리그 시즌3에서 덱메이커답게 흔치 않은 윤회술사를 들고 나왔습니다. 마침 상대 철면수심의 방밀전사를 상대로 템포까지 딱딱 맞아서 굉장히 유리한 상황에서 스니드의 하이퍼 역캐리 덕분에 이슈가 됐습니다. 레딧에서도 댓글만 400개가 넘게 달리고 인기글까지 올라가 버리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2015년 9월 19일 자정 경, 아프리카 방송에서 트위치로의 이동을 받아들였다고 말했습니다. 처음 제시했던 조건보다 더 좋은 조건을 제시받아서 가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고.
2016년 1월14일부터 네이버에서 트위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따효니가 덱을 소개하는 '이 덱 1티어다'라는 칼럼을 연재했습니다. 팬들은 따효니가 직접 덱을 만들어 소개하는 것이 아니냐고 질문하였지만, 따효니가 자신이 만들지 않은 덱도 가능하다고 정정해 주었습니다. 칼럼이 나올 때마다 덱을 좀 스스로 만들어서 팔라는 내용이 항상 추천 1위... 이 덱 1티어다 탄생 비화가 담긴 영상도 나왔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2016년 2월 20일, 2016 HCT Winter 한국대표 선발전에 진출하면서 장장 6시즌만에 방송무대를 밟게 되었고, 엄청난 명승부 끝에 우승함으로써 한국 대표로 선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어 3월 27일, 핑핑호와 핸섬가이를 차례로 물리치며 2016 HCT APAC Winter 우승자가 되었습니다!
2016년 5월 7일, 유명 프로게임단 클라우드9에 입단했습니다. 백학준, 이정환, 김정수에 이은 네 번째 해외프로팀 입단. 블리즈컨 2016 D그룹 매치에서 OmegaZero에게 1승 4패라는 씁쓸한 성적을 거두며 패자조행을 확정지었으며, 패자전 매치에서 Pavel에게 0승4패로 탈락했습니다. 총 1승 8패로, 광탈 수준. 요그사론 운이나 무빙, 핸드운이 골고루 너무 없던 것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덱 구성과 플레이 스타일간에 갭이 있었던 것이 큽니다. 욕심 꽉꽉 덱을 들고 왔으면서 정작 플레이는 안정적으로 하는 미스매치를 한 것티 패착.
이 해의 블리즈컨 전에 '당신의 챔피언은 누구?'라는 응원 이벤트를 진행했는데, 자신이 응원하는 선수가 승리할 때마다 카드팩을 주는 이벤트를 했었습니다. 그런데 따효니가 탈락하자 겨우 100골드짜리 카드팩 하나 못 얻었다고 따효니에게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온갖 욕설들을 쏟아내는 사람이 속출하였고, 결국 따효니가 인벤에 직접 사과문을 작성하였습니다. 결국 좋은 취지로 시작한 응원 이벤트는 고작 100골드 하는 카드팩 때문에 남한테 쌍욕을 퍼붓는 인생들이 세상엔 많고도 많다는 것을 알게 해 준 씁쓸한 이벤트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2017년 1월 27일 아침8시,카드깡까지 해가며 참가한 본인의 첫 컵대회 '2017 Turning Point Academy - Battle for Points #56'에서 orange를 3:0으로 셧아웃 내고 우승했습니다.
2017년 3월, 핸섬가이, 플러리, 크라니쉬와 함께 하스스톤 글로벌 게임에 한국 국가 대표로 선출되었습니다. 4월 전설 9등을 찍고 컵대회 8강과 준우승으로 총 19점으로 춘계 예선에 진출하였습니다. 하지만 예선 1라운드 승리 후 2, 3라운드 패배, 4라운드 고스트 선수에게 3:2 승리 후 5라운드 고공싱 선수에게 3:1 패하며 탈락하고 말았습니다.
2017년 5월, 혼비, 크라니쉬, 짱나라, 신명수 선수와 함께 '혼소차'라는 팀을 만들어 HTC Spring에 출전했지만 예선 2라운드에서 팀 Genius에게 패하며 탈락하였습니다. 따효니는 예비 선수여서 출전하지는 않았지만 대회장에 가서 팀원들을 응원했습니다.
2017년 6월 30일, 전날부터 시작된 장장 14시간만의 대장정 끝에 전설 14등 주차에 성공했습니다. 시청 포인트는 도네 금지+송출 7분 딜레이+채팅방 7분 딜레이를 걸고도 14시간 동안 쉬지 않고 터져나오는 따소리입담. 심지어는 방송을 끄고도 랭크를 돌려 DawN을 제물로 8등까지 올렸습니다.
2017년 7월 22일, 제1회 고블린컵 고인물 대잔치에서 등지기 흑마와 미라클 도적으로 DawN을 2:0으로 잡고 4강에 올랐으나 페가소스한테 2:1로 아쉽게 패하여 결승에 가지는 못했습니다.
2017년 8월 5, 6일, 제2회 케로컵에서 DawN의 퀘법을 저격하여 모든 덱에 비삼자를 넣어 3:2로 승리하고 4강에 진출했습니다. 4강에서 룩삼을 만나 가볍게 3:0으로 결승에 진출하였습니다. 결승에서 고스트를 만나 2점을 먼저 따서 우승을 할줄 알았으나, 템포전사가 발목을 잡아 결국 3:2로 아쉽게 준우승을 하였습니다.
2017년 8월 19, 20일, 갓보기, 코둘기, 코진기 선수와 함께 '판도카드'라는 팀을 만들어 HTC Summer에 출전 했지만 16강에서 팀 CorsaiR에게 3:1로 패하며 탈락하여 아쉽게 8강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2017년 8월 25일, 하스스톤 글로벌 게임 4강에 진출하여 독일 쾰른에서 우크라이나와 4강에서 맞붙었으나 4:2로 패해 결승에는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2017년 9월 2일, 고블린컵 5회 스페셜 초청전에서 핸섬가이와 '초갈'이라는 팀을 만들어 4강에서 마스카-석원 팀을 2:1, 결승에서 갓보기-태상 팀을 2:1로 잡고 우승하여 100만 원을 타 갔습니다.
2017년 9월 9, 10일, 6월 8등, 컵대회 준우승, 7월 69등으로 총 21점으로 하계 예선에 진출하였습니다. 3라운드 크리보에게 3:2, 7라운드 uya에게 3:2로 패하여 5승 2패로 7라운드 tom60229와 케빈의 대결에서 케빈이 이기면 8등으로 플레이오프 8강에 진출할 수 있었으나, tom60229가 케빈을 3:1로 잡는 바람에 9등으로 아쉽게 8강에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2017년 9월 29일, 한국에서 열리는 하스스톤 메이저 예선에서 탈락했습니다. 10월 7일, 쥬팬더 주관 HST 10회차에 출전하여 중국의 Dogggg를 4:3, 호주의 Pathra를 4:3로 꺾고 우승했습니다. 20일, 쥬팬더 주관 HST 12회차에 출전했지만 루마니아의 RDU에게 4:0으로 패하고 말았습니다.
2017년 10월 21일, 22일, WEGL 한국 대표 예선에서 16강에 들었지만 16강 조별경기에서 광탈하고 말았습니다. 11월 6일, 블리즈컨에서 레니아워와 사과문빵으로 대결한 2017 블리즈컨 월드챔피언쉽 레전드 오브 레전드 애플문컵에서 우승했습니다.
2017년 12월 10, 11일, 시드니에서 열리는 하스스톤 인비테이셔널에 초청받았습니다. 8강에서 호주의 CitizenNappa에게 3:2, 4강에서 호주의 Mage에게 3:0으로 이겨 결승에 올라갔지만 호주의 NaviOOT에게 3:1로 패하여 준우승하였습니다.
2017년 12월 16일, 한국 라스트콜 상위 16명 선수로 이루어진 하스스톤 한국 인비테이셔널에 출전하여 16강에서 Strikeright에게 3:1로 패하여 탈락하였습니다.
2017년 12월 30일, 2017 HTC 윈터 예선에 테일, 최락조와 함께 'EsC9'이라는 팀으로 출전했지만 예선 4강에서 EZ 팀에게 3:1로 패하여 탈락 했습니다.
2018년 1월 5일, 2017 HTC 윈터에서 갓보기, 코둘기, 코진기로 이루어진 Team SSG의 용병으로 뽑혔습니다. HCT 투어 스탑 서울에 출전해 첫 경기에 1패 후 6연승으로 32강에 진출했으나 그대로 탈락하였습니다.
4월 26일 아시아 서버 5등을 찍었으나 서렌더의 등수를 보고 욕심을 부리다 1000등 밑으로 떨어지는 수모를 겪었습니다. 월말 최종 등수는 300등 언저리...
5월 26일 아시아 서버 16등을 찍었다 내려갔다를 반복했으나 마의 16등을 뚫지 못하고 그대로 100등대 아래로 추락하였습니다.
6월 29일 아시아 서버 4등까지 올라갔습니다. 이후 등수가 밀리기 시작하자 몇 판 더 돌리다 최종적으로 14등에서 멈추고, 2018 하스스톤 챔피언십 투어 섬머 해설에 참여했습니다. 채팅창에서 꾸준히 등수에 관해 물어보자 틈틈히 핸드폰을 통해 14등에서 내려가지 않았음을 확인하면서 6월 14등 박제에 성공함을 알렸습니다.
8월 1일 유럽 서버 50박에 성공하면서 2시즌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 지었습니다. 7월 30일부터 중간 수면 시간 6시간을 포함하고 40시간동안 돌린 끝에 22등 → 40등 대 → 28등으로 박제에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플레이 오프에서 3패 이후 경기를 포기하면서 탈락하였습니다.
2019년 4월에 새로이 출시되는 확장팩인 어둠의 반격 신카드의 더빙 녹음 과정에 참여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18일에 자신이 더빙한 카드 목록을 공개했습니다. 더빙 멘토로는 오버워치의 젠야타를 맡았고 하스스톤에서는 라팜을 더빙한 성우 안효민 씨와 함께 했으며, 따효니 본인이 더빙한 카드는 열렬한 부하, 수상한 형체, 잔.악.무.도. 악당, 공성두로 총 네 장입니다. 연예인 더빙의 경우처럼 비성우 더빙에 대해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이 많았지만 우려했던 것과 달리 제법 준수한 더빙을 보여주어 호평을 받았습니다. 오히려 잔악무도 악당 같은 경우엔 특색을 무척 잘 살린 더빙이라 따효니가 더빙한 것인 줄은 몰랐다는 의견이 대부분.
2020년에 스칼로맨스 아카데미아에서 김종수와 5가지 하수인을 더빙했는데,이때의 김종수의 평은,"백상현은 기막히게 노움,임프 같은 종족이랑 목소리가 잘어울린다"였다고.
이상 백상현 선수에 대한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동주 (0) | 2021.07.09 |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이채환 (0) | 2021.07.08 |
아나운서 이정현 (0) | 2021.07.05 |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가브리엘 세가트 (0) | 2021.07.05 |
카운터 스트라이크 프로게이머 니콜라 코바치 (0) | 2021.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