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3조 원대 글로벌 ‘e스포츠’ 산업을 집중 공략한다. SK텔레콤의 게임단 ‘T1’을 ‘e스포츠계 FC바르셀로나’로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이 세계적인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 그룹 ‘컴캐스트’(Comcast)와 함께 3조원대(2022년 전망) 글로벌 ‘e스포츠’ 산업에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MWC19」 개막 전날인 2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컴캐스트 그룹의 ‘컴캐스트 스펙타코어’(Comcast Spectacor)와 e스포츠·게임 공동 사업을 위한 조인트벤처 'T1 엔터테인먼트&스포츠' 설립을 공식화 했다.
‘컴캐스트’는 시가총액 약 174조원, 연매출 약 110조원의 세계적인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전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케이블TV · 방송회사이자 미국 1위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 5400만명 이상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러한 컴캐스트와 함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어 글로벌 e스포츠 시장을 파고들기로 했다.
우리나라에 익숙한 미디어·콘텐츠 기업 ‘NBC유니버셜’ 및 ‘드림웍스’, ‘SKY’ 위성 방송사, 테마파크 ‘유니버셜 스튜디오’ 등도 컴캐스트 그룹에 속해있다. ‘컴캐스트 스펙타코어’는 컴캐스트 그룹의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영역을 총괄하고 있다.
양사가 추진 중인 조인트벤처의 모체는 SK텔레콤이 2004년 창단한 e스포츠 구단 'T1'이다. T1 오너십이 있는 SK텔레콤이 최대주주로, 컴캐스트는 지분 투자를 통해 2대 주주가 되기로 양사는 잠정 합의했다.
T1은 주로 한국에서 활동하면서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명문 e스포츠 구단’이라는 점에서 컴캐스트 등 다양한 기업 및 투자자로부터 높은 관심과 가치 평가를 받아 왔다.
이 구단은 월간 이용자가 1억 명이 넘는 최고 인기게임 ‘리그오브레전드’의 월드챔피언십에서 3회 우승한 경력, e스포츠계 ‘마이클 조던’으로 불리는 이상혁(활동명 '페이커') 등 스타 플레이어들을 보유하고 있어 전세계 e스포츠 팬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 동안 기업들이 e스포츠 구단을 직접 운영하거나 스폰서십을 통해 마케팅·홍보에 활용한 사례는 있었지만, 국내 대기업이 ‘e스포츠’ 전문 기업 설립을 추진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글로벌 e스포츠 시장은 미국, 아시아, 유럽을 중심으로 매해 30~40% 성장하고 있는 블루오션이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전세계 e스포츠 산업은 지난해 8억 6900만 달러(약 1조원) 규모에서 2022년 29억 6300만 달러(약 3.3조) 규모로 매해 35% 고성장 한다고 전망했다. 이는 90년 역사 축구리그 스페인 ‘라 리가’의 연간 시장 규모인 약 28억 달러(약 3.1조원)를 뛰어 넘는 수준이다.
골드만삭스 전망은 ‘e스포츠’ 핵심 수익원인 상금, 중계권, 스폰서십, 광고, 상품 판매만 종합한 규모로, 약 101억 달러(11.3조원, 출처 : Streamlabs, ’18. 10) 규모의 게임 스트리밍 시장을 포함하면 지난해 관련 산업 규모는 연간 12조원대로 커진다.
양사는 글로벌 e스포츠팀 공동 운영, 콘텐츠 공동 제작,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등 사업을 전세계 2억 명에 육박하는 e스포츠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게임 스트리밍 추진을 위해 양사는 컴캐스트의 세계적인 미디어 역량을 활용해 e스포츠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고, SKT의 미디어 플랫폼과 컴캐스트의 스포츠 방송채널 등을 활용해 콘텐츠를 유통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주 소비층인 전세계 10~30대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신규 사업도 추진한다.SK텔레콤과 컴캐스트 그룹은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양사가 가진 경쟁력을 활용한 미디어 협력을 논의키로 했다.
SK텔레콤은 국내 방송사 · 콘텐츠 기업들과 제휴를 통해 미디어 사업 경쟁력과 한류 콘텐츠 제작 역량을 지니고 있으며, 컴캐스트는 세계적인 콘텐츠 기업 ‘NBC유니버셜’, ‘드림웍스’ 및 세계 곳곳에 방송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리그오브레전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챔스] 젠지 여창동 코치 "김강희의 미드 출전, 콜-팀적 움직임 좋아서" (0) | 2019.03.01 |
---|---|
SK텔레콤, 컴캐스트와 파트너십 체결..글로벌 e스포츠 전문 기업으로 진화 (0) | 2019.03.01 |
[롤챔스] '키' 김한기 "상위권 혼전 틈타 꼭 포스트 시즌 가고싶다" (0) | 2019.02.28 |
'LoL' e스포츠 4대 리그, 스프링 시즌 판도는? (0) | 2019.02.28 |
승부사 최우범의 결단, 젠지 반등 성공할까 [Oh!쎈 롤챔스] (0) | 2019.02.28 |